살림 정보

점점 늘어나는 1인 가구를 위한 대비책

단테나무 2025. 3. 19. 09:45
반응형

 

 

 

 

이용대상은   거주지가 서울이거나 직장 또는 학교 소재지가 서울인 1인가구 가구입니다

 

 

씽글 벙글 서울(서울 1인가구 포털)

 

씽글벙글 서울(서울 1인가구 포털)

1인가구 안심해요. 서울시가 함께해요!

1in.seoul.go.kr

 

 

이용방법은  다움과 같습니다

  • 자치구 1인가구 지원센터별로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일정이 다르므로 가까운 센터의 프로그램을 확인한 후 개별 신청하며  센터별 프로그램 내용과 신청방법 등은 '서울 1인가구 포털'(https://1in.seoul.go.kr) 또는 해당 센터로 전화 문의하여 확인하십시오

1인가구 이용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육·여가·문화 공    통 1인가구의 사회적 적응을 위한 관계 형성 교육
① 관계증진   ② 자기돌봄   ③ 적응지원   ④ 재무관리   ⑤ 생활밀착형   ⑥ 지역사회 탐방
심리지원 나를 위한 그림책방, 토닥토닥, 나만의 동화만들기
건강안전 요가, 헬스클럽, 탁구, 마라톤, 자기방어 훈련, 호신술
주거경제 경제범죄 예방 교육, 돈굴리기 프로젝트, 홈키드 집수리
취미여가 감성사진 담기, 같이 드로잉, 취미 공방
반려동식물 우리집 가드너, 나의 동반자야, 완벽한 솔로생활
상      담 1인가구의 생활상 문제해결을 위한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
① 자기발견   ② 자기돌봄   ③ 가족관계   ④ 심리&성격 검사
사회적 관계망 동아리사업, 자조모임, 1인가구봉사단, 여행
① 모임주제 - 일상, 여가, 문화 등(예: 독서모임 등)
② 모임요건 - 1인가구 3인이상, 월1회 이상 정기모임 활동
③ 지원내용 - 모임활동에 필요한 재료비, 체험비 등 활동비
상담 멘토링 개인 및 그룹 멘토링 등을 통해 정서적 지지 및 관계형성 지원
① 1:1 멘토링 - 멘토·멘티 맞춤형 매칭을 통한 심층상담
② 그룹멘토링 - 둘레길 함께 걷기, 독서모임 등 소모임
③ 강의식멘토링 – 유명인사의 경험 사례를 통한 관계형성

 

자치구 1인가구지원센터 위치는 다음과 같으니 참고하십시오

                                                         
종 로 구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41, 7층 070-4297-8407~8
중      구 서울시 중구 난계로 17길 20-7, 놀다가 02-2232-1249
용 산 구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로 224-19 한남동 공영주차장 3층 02-797-9184
성 동 구 서울시 성동구 마장로 39길 31, 3층 02-2281-7715
광 진 구 (1센터)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81, 더라움 펜트하우스 에비뉴B동 302호 02-465-0336
(2센터)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400, 보건복지행정타운 4층 02-465-0336
동대문구 서울시 동대문구 무학로 89, 동대문구민행복센터 2층 02-957-0760
중 랑 구 서울시 중랑구 용마산로 369 02-435-4144
성 북 구 서울시 성북구 정릉로27길 61-6, 성북온가족행복지원센터 02-3290-1660
강 북 구 서울시 강북구 덕릉로 28길 28, 아르테가수유오피스텔2층 02-6221-0064
도 봉 구 서울시 도봉구 마들로 664-17, 3층 02-995-6800
노 원 구 서울시 노원구 동일로173가길 94, 가온빌딩 3층 02-979-3501
은 평 구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767, 101동 지하1층B15~B16 02-376-3761
서대문구 서울시 서대문구 증가로 244 1층 070-4108-9160~2
마 포 구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9, 합정오피스빌딩 B2층 02-3142-5482
양 천 구 서울시 양천구 남부순환로 83길 53, 신월6동 행정복합타운 3층 02-2065-3400
강 서 구 서울시 강서구 강서로5길 50, 곰달래문화복지센터 2층 02-2606-2017
구 로 구 서울시 구로구 우마2길 35, 구로가족통합지원센터 2,3층 02-869-0317
금 천 구 서울시 금천구 금하로 11길 40, 1층 02-803-7741
영등포구 서울시 영등포구 선유동1로 80, 영등포구청별관 g동 1층 02-845-5433
동 작 구 서울시 동작구 매봉로 37 02-599-3301
관 악 구 서울시 관악구 낙성대로4가길 5, 낙성대동주민센터 4층 02-883-9383
서 초 구 서울시 서초구 양재천로 125-10, 양재공영주차빌딩 4층 02-2155-8281
강 남 구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8길 36, 3층  02-552-1101
송 파 구 서울시 송파구 거마로8길 20, 송파커뮤니티센터 3층 02-431-3844
강 동 구 서울시 강동구 구천면로 297-5, 천호아우름센터 2층 02-479-1179

 

 

 

 

또한 18일  서울시는 1인 가구의 건강한 식생활 습관과 사회적  단절을 방지하고 교류를 돕는 다양한 소셜다이닝 (Social Dining)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대표적으로 청년 ( 19세~ 39세) 1인 가구를 위한 '건강한 밥상'과 중장년 (40~67세) 1인 가구를 위한 '행복한 밥상'이 있으며

청년을 대상으로 한 건강한 밥상은  800명 , 중년의 행복한 밥상은 3500명까지 신청가능하고 

이 프로그램은 자치구별로 운영되며, 지원 대상과 일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참여를 희망하시는 경우 해당 자치구의 1인 가구 지원센터나 주민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올해부터  1인 가구를 위한 밥상 프로그램에는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를 손질하고 조리하는 실습으로 스스로 건강한 식사를 준비할 수 있도록 진행되며   건강한 식생활을 도모하고  함께 요리를 배우면서 식사하는 것뿐만이 아닌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 11개 구에서 진행된 행복한 밥상은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운영되며  건강한 밥상은 11개 자치구 ( 강남구, 관악구, 금천구, 동대문구, 동작구, 서초구, 성동구, 영등포구, 은평구, 중구)로 확대 운영합니다

 

 

 

청년들은  집값 상승, 양육 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결혼과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우와  

결혼과 가족 중심에서 개인의 삶과 행복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배우자와 사별하거나 자녀와 따로 사는 고령층의 1인 가구가  증가하기 때문에 

최근 대한민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1인 가구는  배달 음식과 간편식을 주로 섭취하는데서 오는  영양 불균형 우려와 

사회 활동이 줄어들면서 인간관계가 단절되어  사회적 고립감을 느낄 수 있으니

시의 1인 가구를 위한 씽글 벙글 서울의 프로그램 등 

건강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책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서울시 외에도 대한민국의 여러 지자체에서 1인 가구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해당 지자체의 공식 웹사이트나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